멀티턴 vs 싱글턴
LLM 기반의 챗봇이나 대화형 AI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와의 대화 흐름을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처리 방식이 크게 달라진다.
이때 중요한 개념이 바로 싱글턴과 멀티턴이다.
두 방식은 대화의 문맥 유지 여부와 처리 방식에서 본질적인 차이를 보인다.
1. 싱글턴(Single-turn) 대화란
싱글턴은 하나의 사용자 질문에 대해 하나의 응답만 수행하고 종료되는 방식이다. 이 방식에서는 이전 대화 내용이나 맥락을 고려하지 않으며, 매 요청은 완전히 독립적으로 처리된다. 주로 FAQ 챗봇, 단일 질의응답 시스템, 한 번에 정보를 제공하는 응용 서비스 등에서 사용된다.
예시
사용자: 서울의 날씨 알려줘
AI: 서울은 오늘 맑고 기온은 29도입니다.
해당 대화는 질문과 응답이 한 번씩 오가며 종료되므로 싱글턴이다.
2. 멀티턴(Multi-turn) 대화란
멀티턴은 여러 번의 질문과 응답이 이어지며 문맥이 연속되는 대화 방식이다. 이 방식에서는 AI가 이전 대화의 흐름을 기억하고, 이를 기반으로 다음 응답을 생성한다. 따라서 사용자가 일부만 질문하거나 생략된 표현을 써도 맥락을 유지하며 자연스럽게 응답할 수 있다.
예시
사용자: 서울의 날씨 알려줘
AI: 서울은 오늘 맑고 기온은 29도입니다.
사용자: 내일은 어때?
AI: 내일은 흐리고 비가 예상됩니다.
위 예시에서 "내일은 어때?"라는 질문은 문맥상 "서울의 내일 날씨"를 의미하며, AI는 이를 이전 질문을 바탕으로 추론하여 적절한 응답을 생성한다. 이러한 방식이 멀티턴이다.
3. 두 방식의 주요 차이점
항목 | 싱글턴 | 멀티턴 |
---|---|---|
문맥 유지 | 없음 | 있음 |
응답 정확도 | 질문 명확 시 정확함 | 문맥 기반 유연한 응답 가능 |
처리 난이도 | 상대적으로 낮음 | 상태 관리와 캐시 최적화 필요 |
사용 사례 | 검색형 Q&A, FAQ | 챗봇, RAG, 상담 시스템, 에이전트 |
4. 멀티턴이 필요한 이유
현실의 대화는 대부분 단계적으로 이어지는 질의응답으로 구성되므로, 사용자는 전체 질문을 한 번에 말하지 않는다.
특히 RAG 기반 시스템에서는 문서를 요약한 뒤 “그럼 관련 예시는?”, “이걸 표로 바꿔줘”, “다른 문서도 분석해줘”와 같이 대화를 확장하게 된다.
이러한 흐름을 자연스럽게 처리하기 위해서는 멀티턴 방식이 필수적이다.
5. 요약
멀티턴은 대화의 흐름을 기억하며 사용자와 지속적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이고, 싱글턴은 즉각적이고 독립적인 질문-응답에 적합한 방식이다. 챗봇의 목적이 단순한 정보 제공인지, 아니면 맥락 기반 응답을 요구하는지에 따라 적절한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.